맨위로가기

아기우 파블루 수도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기우 파블루 수도원은 10세기 말에서 11세기 초에 성 바울로스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아토스 산에 위치한 정교회 수도원이다. 1035년 크세로포타무 수도원에서 독립했으며, 세르비아 귀족 안토니예 바가시에 의해 14세기에 복원되었다. 15세기 말까지 세르비아 수도원이었으며, 1845년 라도슬라브 복음서 일부가 러시아 국립 도서관으로 기증되었다. 현재 494개의 필사본과 12,000권 이상의 인쇄된 책을 소장하고 있으며, 31명의 수도자가 생활하고 있다. 아토스 수도원 계층에서 14위에 해당하며, 루마니아와 그리스에 스키트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토스산의 수도원 - 이비론 수도원
    이비론 수도원은 980년에서 983년 사이에 그루지야 수도사 이오안 이베리와 이오안 토르니케의 감독 하에 건설되었으며, 아토스 산의 20개 독립 수도원 중 세 번째로 순위가 높다.
  • 아토스산의 수도원 - 힐란다르
    힐란다르는 그리스 아토스 산에 위치한 세르비아 정교회 수도원으로, 1198년 세르비아에 기증되어 스테판 네마냐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수많은 성물과 필사본을 소장하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아기우 파블루 수도원
기본 정보
수도원의 외부 모습
공식 명칭아기우 파블루 수도원
로마자 표기Agiou Pavlou
종류그리스 정교회 수도원
위치아토스산, 그리스
봉헌예수 그리스도의 예루살렘 성전 봉헌
기념일2월 2일
출입 제한남성만 가능
관련 인물아르키만드리트 아베르키에
안토니예 바가시
설립자크세로포타무의 성 파울로스
수도원장아르키만드리트 장로 파르테니오스 (무렐라토스)
역사
설립 시기1035년 이전

2. 역사

아기우 파블루 수도원은 10세기 말에서 11세기 초에 크세로포타무 수도원의 창시자이기도 한 성 바울로스에 의해 설립되었다. 문서에 따르면 1035년까지 크세로포타무 수도원으로부터 독립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1] 이 수도원은 처음에는 성 게오르기우스에게 봉헌되었지만, 곧 창립자의 이름을 따게 되었다. 봉헌은 이후 예수 그리스도의 성전 봉헌으로 변경되었다.

1355년에서 1365년 사이에 세르비아 귀족 안토니예 바가시는 니콜라 라도냐와 함께 폐허가 된 수도원을 사들여 복원하고 수도원장이 되었다.[2] 라도냐의 형제들인 부크 브란코비치와 그르구르 브란코비치의 지원을 받은 수도원 복원은 세르비아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3][4] 1410년 10월 14일, 세르비아 전제군주 주라지 브란코비치는 사망한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 공의 뜻에 따라 쿠즈민을 수도원에 기증했다.[5] 러시아 순례자 이사야는 15세기 말까지 이 수도원이 세르비아 수도원이었음을 확인한다.[6]

1845년 10월 포르피리우스 우스펜스키는 방문 중에 라도슬라브 복음서의 12쪽을 가져가 러시아 국립 도서관에 기증했다. 수도원에 남아 있던 나머지 쪽들은 분실되었다.

이 수도원은 아토스 수도원 계층에서 14위에 해당한다. 도서관에는 494개의 필사본과 12,000권 이상의 인쇄된 책이 소장되어 있다.[7]

이 수도원에는 31명의 현역 정교회 수도원주의 수도자가 있으며, 루마니아의 라코스키티와 그리스의 네아 스키티 (새로운 스키테) 두 개의 이디오리듬 스키트 (더 작고 종속적인 수도원)가 있다.[7]

2. 1. 초기 역사 (10세기 ~ 14세기)

아기우 파블루 수도원은 10세기 말에서 11세기 초에 크세로포타무 수도원의 창시자이기도 한 성 바울로스에 의해 설립되었다. 문서에 따르면 1035년까지 크세로포타무 수도원으로부터 독립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1] 이 수도원은 처음에는 성 게오르기우스에게 봉헌되었지만, 곧 창립자의 이름을 따게 되었다. 봉헌은 이후 예수 그리스도의 성전 봉헌으로 변경되었다.

2. 2. 세르비아 시대 (14세기 ~ 15세기)

1355년에서 1365년 사이에 세르비아 귀족 안토니예 바가시는 폐허가 된 수도원을 사들여 복원하고 수도원장이 되었다.[2] 니콜라 라도냐와 그의 형제들인 부크 브란코비치와 그르구르 브란코비치의 지원을 받은 수도원 복원은 세르비아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3][4] 1410년 10월 14일, 세르비아 전제군주 주라지 브란코비치는 사망한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 공의 뜻에 따라 쿠즈민을 수도원에 기증했다.[5] 러시아 순례자 이사야는 15세기 말까지 이 수도원이 세르비아 수도원이었음을 확인한다.[6]

2. 3. 근현대 (16세기 ~ 현재)

1845년 10월 포르피리우스 우스펜스키는 방문 중에 라도슬라브 복음서의 12쪽을 가져가 러시아 국립 도서관에 기증했다. 수도원에 남아 있던 나머지 쪽들은 분실되었다.[7]

이 수도원은 아토스 수도원 계층에서 14위에 해당한다. 도서관에는 494개의 필사본과 12,000권 이상의 인쇄된 책이 소장되어 있다.[7]

이 수도원에는 31명의 현역 정교회 수도원주의 수도자가 있으며, 루마니아의 라코스키티와 그리스의 네아 스키티 (새로운 스키테) 두 개의 이디오리듬 스키트 (더 작고 종속적인 수도원)가 있다.[7]

3. 문화 및 유물

3. 1. 도서관 소장품

4. 수도원 생활

참조

[1] 서적 Les origines légendaires et l'histoire de Xéropotamou et de Saint-Paul de l'Athos Louvain 1942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Volume 5, Eastern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8-17
[3] 서적 Recueil de Vardar https://books.google[...] Akademija
[4] 서적 Vuk Branković https://books.google[...] Knjiga-komerc
[5] 서적 Charters of the Serbian rulers related to Kosovo and Metochia
[6] 서적 History of Macedonia, 1354-1833. [By] A.E. Vacalopoulos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Agios Pavlos page at Macedinian Heritage http://www.macedonia[...]
[8] 서적 Eastern Christianity http://books.google.[...]
[9] 서적 Charters of the Serbian rulers related to Kosovo and Metoch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